mv 와 mkdir 명령어
- mv는 move 로써 파일의 이동이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.
- 소스 파일을 목적 파일로도 옮길 수 있고, 소스파일'들'을 디텍토리로도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
- mv의 옵션은 cp와 마찬가지로 쓸만한건 -f(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강제복사) 와 -i(대화형 복사)로 같습니다.
- mkdir은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로써,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는 [mkdir [디렉토리(폴더)이름] 으로 생성하시면 됩니다.
사용예시)
안에 lin 디렉토리(폴더)를 만들어봅시다. 그리고 그안에 저번시간에 만들었던 test1 파일을 넣어보는걸 해보죠.
먼저 내용물을 확인해봅니다. 저번시간에 썼었던 파일들이 test1 ~ 4 까지 있네요.
여기서 폴더를 생성합니다. [mkdir lin] #lin이라는 이름을 가진 디렉토리 생성
디렉터리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고, ls -l을 해서 확인하면 파란색 글씨로 표시된 것이 디렉터리 폴더입니다.
그리고 ls -l 에서 제일 앞에 drwx----- 이렇게 써진 것들이 있는데요, 이것을 권한이라 부릅니다. 권한은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고 간단히 다른 것 하나만 설명하고 가겠습니다. drwxrwxr-x라고 써진 부분에서 맨앞에 d라고 써진 부분이 보이실텐데요, 이것은 디렉토리라고 알려주는 알파벳입니다. 아래 test1 은 d표시가 없죠? lin 은 d가 표시되어있으니 디렉토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다른 폴더도 보면 모두 저렇게 되어있어요!
이제 복사를 해봅시다.
$ mv test1 lin 로써 파일을 옮기는 명령어를 썼더니,
cp 디렉토리 내에있던 파일은 사라졌고,
$ cd lin 명령어로 lin 폴더에 들어가서 ls를 입력해보니 test1 파일이 정상적으로 저곳에 이동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쉽죠?
'공부 > 리눅스, 쉘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놀로지 Virtual Machine Manager 설치에러 (0) | 2024.07.06 |
---|---|
리눅스 시간 동기화 (0) | 2021.10.26 |
[Kali Linux] urlsnarf (0) | 2019.05.09 |
[쉘 스크립트] 정규 표현식 (grep) (2) | 2018.05.02 |
[리눅스] cp 명령어 (0) | 2018.04.27 |
[리눅스] more, head, tail (0) | 2018.04.25 |
[리눅스] cat 명령어 (0) | 2018.04.25 |
[리눅스] cd 명령어를 알아보자 (0) | 2018.04.25 |
댓글